safety (6) 썸네일형 리스트형 MRI 검사 후 화상 안전사고 MRI 검사실은 강자장 구역이면서 고주파 구역으로 종종 금속에서 유도되는 고전류에 의해 화상을 입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안전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해 MRI실에서는 MR 안전 스크리닝을 진행하여 확인 후 검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하지만 스크리닝 시 환자가 관련 항목을 말해주지 않으면 근무자는 확인하기 어렵고, 우리나라처럼 짧은 시간 안에 많은 환자를 검사해야 하는 환경에서는 정보가 누락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안전사고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사례를 공유하고 원인을 파악해 개선 방법을 검토해야 합니다. 미국에서도 식품의약국(FDA)에서 의료제품 보고 시스템 프로그램(MedWatch) 도입 후 MRI 검사 후 화상사고는 자주 언급되고 권장사항을 제공하지만 화상사고에 대한 화상 정도 및 상황에 대한 자.. 소아 진정(수면) MRI 검사 MRI 검사는 CT 검사와 달리 검사시간이 길어 소아는 진정이나 전신 마취 없이는 검사를 견디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많은 소아 환자가 MRI 검사 중에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되거나 장비 소음이나 크기에 겁을 먹게 됩니다. MRI 검사를 받는 일부 성인 환자도 경미한 불안증세에서 공황 발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서적 고통을 경험하게 됩니다. 여러 연구에 따른 면 성인 환자 14~20%는 MRI 검사를 견디기 위해 진정(수면)이 필요합니다. 성인도 검사를 하기 어렵다 보니 6세 이하의 소아의 경우 대부분 수면(진정) 상태로 검사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병원에서는 소아 진정 검사 시 인력 및 장비의 제한으로 실제로 원활하게 검사가 진행되기 어려웠습니다. 2018년 12월 5일에 소아 진정 관리.. 심혈관 이식형 전자 장치 삽입 환자의 MRI 검사 절차 심장박동기(Pacemaker), 이식형 심장 제세동기(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ICD), 심장 재동기화 치료(Cardiac Resynchronization Therapy, CRT), 이식형 루프 레코더(Implantable Loop Recorder, ILR)는 MRI에 금기인 이식형 전장 장치입니다. 최근에는 기술발전으로 MRI 검사가 가능한 MRI 조건부 승인을 받은 제품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1,440만 명의 정도의 환자가 심장 부정맥 질환을 앓고 있으며 매년 약 40,700 명이 사망합니다. 전 세계적으로는 약 백만 명의 환자가 매년 심장박동기, 이식형 심장 제세동기(ICD)를 삽입하고 있습니다. 최근 수년간 국내에서도 심혈관 이식형 전자 장.. MRI 촬영 시 금속재료가 없는 마스크 사용 권고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은 MRI촬영 중 마스크를 착용한 환자에게 안면 화상이 발생한 상해 사건 1건 보고받고 마스크 코 지지대, 나노입자, 향균코팅(은이나 구리 등) 된 제품의 경우 금속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어 자기공명영상(MRI) 검사 시 환자가 금속이 없는 마스크를 사용할 것을 권고하는 안전성 정보 발표하였습니다(2020. 12. 7). 이를 근거로 식품의약품안전처(KFDA)에서도 2020년 12월 8일에 아래와 같이 자기공명영상(MRI) 검사 시 금속 부품이 사용되지 않은 마스크 착용을 권고하였습니다. [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권고사항] MRI 검사 시 금속재료가 사용된 마스크를 착용하지 말 것 (금속으로 만들어진 코지지대, 금속이 함유 될 가능성이 있는 항균코팅(은 또는 구리 등) 마스크) 금속.. [일본] 조깅 바지로 인한 자기공명영상 검사후 화상 사고 요즘 의류에 쓰이는 섬유의 성분이 다양하다 보니 이런 사고가 보고되는 것 같습니다. 군마대학병원(일본)에서 40세 여성이 허벅지 근육을 평가하기 위해 피부 근염에 대한 MRI 검사(지멘스 3.0T)를 15분 정도 진행한 사례입니다. 아래 영상에서 양측 허벅지 바깥쪽에 인공물을 보입니다. 검사 후 양측 허벅지에 선형적인 발적과 부종이 관찰되었습니다. 검사 직후 환자 바지(a)를 X선 검사로 확인해 보니 얇은 금속 섬유가 화살표(b)처럼 보입니다. 붉게 발적이 생긴 부분이 조깅 바지의 세로선과 일치 합니다. 이 Case Report에 따르면 최근 많은 의류회사에서 스트레치 의류나 항균 기능이 있는 의류에 금속 섬유를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MRI실에서는 가급적 병원에서 제공되는 면.. [인도] 강자장 구역에서 날아간 산소통으로 인한 근무자 상해 사고 2014년 12월 29일 인도 뉴델리에 있는 타타 기념 병원에서 있었던 사고로 MRI실에 근무하는 방사선사가 산소마스크를 요청하였으나 이송 직원이 착각하여 산소통을 강자장 구역에 가지고 들어가 이송 직원과 방사선사가 날아간 산소통에 의해 4시간 정도 압착되어 중상을 입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병원 조사에서 이송요원은 의사에게 산소마스크를 가져오라는 요청을 받았지만 산소탱크 전체를 가지고 오라는 말로 착각하여 강자장 구역에 가지고 들어가면서 산소통이 날아가 이송 요원은 팔꿈치가 골절되고, 방사선사는 방광에 창상과 과 하복부 출혈로 중상을 입었습니다. 사고 당시 응급상황시 강자장 제거하는 비상 차단 스위치가 작동하지 않아 구조대 20명이 밧줄로 산소통을 떼어 내려했으나 실패했다고 합니다. 4시간 후 도착한 장..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