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은 MRI촬영 중 마스크를 착용한 환자에게 안면 화상이 발생한 상해 사건 1건 보고받고 마스크 코 지지대, 나노입자, 향균코팅(은이나 구리 등) 된 제품의 경우 금속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어 자기공명영상(MRI) 검사 시 환자가 금속이 없는 마스크를 사용할 것을 권고하는 안전성 정보 발표하였습니다(2020. 12. 7).
이를 근거로 식품의약품안전처(KFDA)에서도 2020년 12월 8일에 아래와 같이 자기공명영상(MRI) 검사 시 금속 부품이 사용되지 않은 마스크 착용을 권고하였습니다.
[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권고사항]
- MRI 검사 시 금속재료가 사용된 마스크를 착용하지 말 것
(금속으로 만들어진 코지지대, 금속이 함유 될 가능성이 있는 항균코팅(은 또는 구리 등) 마스크) - 금속재료 사용여부를 판별하기 어려운 경우, 금속이 포함된 코 지지대 제거, 대체품 사용 또는 의료기관에서 제공하는 금속이 포함되어 있지 않는 마스크를 사용할 것
[의료인 권고사항]
- MRI 검사 시 환자가 착용한 마스크에 금속재료 포함 여부를 확인 할 것
(금속으로 만들어진 코지지대, 금속이 함유 될 가능성이 있는 항균코팅(은 또는 구리 등) 마스크) - 금속재료 사용 여부 확인이 어렵고 환자가 마스크 착용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금속재료가 없는 다른 마스크를 사용토록 하거나 환자에게 제공할 것
코로나19로 인해 MRI 검사는 대부분 마스크를 착용하고 진행하게 됩니다. MRI 검사실 안에서는 강자장과 고주파의 작용으로 금속성 물질에서 발열 가능성이 높아지고, 코 지지대가 금속일 경우 인공물을 발생하여 뇌나 두경부 MRI 영상에서 정확한 진단에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위에서 권고한 대로 금속성 코 지지대 뿐만 아니라 보건용으로 허가 받지 않은 다양한 마스크가 시중에 유통중 이기 때문에 MRI 검사전 마스크를 확인하여 환자 안전사고를 예방해야 겠습니다.
참고자료: 의료기기 안전성 서한(식품의약품안전처, 2020.12. 8)
안전성 정보 > 안전한 의료기기 사용 | 의료기기정보포털
의료기기정보포털. UDI표준코드 검색. 의료기기 정보. UDI 코드.
udiportal.mfds.go.kr
'MRI 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체삽입형기기] 만성통증 조절용 척수강 펌프(모르핀 펌프) (0) | 2021.03.15 |
---|---|
MRI 검사 후 화상 안전사고 (0) | 2021.03.15 |
심혈관 이식형 전자 장치 삽입 환자의 MRI 검사 절차 (0) | 2021.03.07 |
[일본] 조깅 바지로 인한 자기공명영상 검사후 화상 사고 (0) | 2021.03.07 |
[인도] 강자장 구역에서 날아간 산소통으로 인한 근무자 상해 사고 (0) | 2021.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