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I 검사 시 주의해야 할 인체 삽입물 중 만성통증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명 모르핀 펌프, 척수강내 약물 주입장치(Intrathecal Drug Infusion System)의 MR 안전성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최근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암성 통증, 척추수술 후 통증증후군, 중추 및 말초신경 손상에 의한 통증 등 다양한 만성통증 관리를 위해 척수강내 약물 주입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척수강내 약물 주입장치는 복부 피부 아래 삽입되어 척수강 내에 연결된 가는 유도관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필요한 최소량의 약물을 공급하여 치료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다양한 제품이 있겠지만 MR 안전에 대해 조건부 승인을 받은 Medtronic사의 SynchroMed™ II 척수강 펌프의 MRI 검사 조건에 대해 안내하려고 합니다.
[특징]
- 1.5 및 3.0T MRI에 대한 전신 검사가 허용
- 펌프는 MRI 검사 중에 프로그램된 치료를 중지, MRI 검사 후 프로그램 된 치료를 재개
[MRI 검사 조건]
- 자기장 세기: 1.5 및 3.0T MRI
- RF 코일: 모든 유형 가능
- Maximum spatial field gradient of 19T/m (1900 gauss/cm)
- Maximum gradient slew rate: 200 T/m/s
- Maximum RF field intensity: First Level Controlled Operating Mode
- 검사시간: 30분 미만, 30분 이상 상반신(복부) 검사 시 발열 위험 증가
[주의사항]
- MRI 검사 중 임플란트(펌프)에 인접한 조직 가열될 수 있어, 30분 이상 검사 시 환자가 불편함을 호소하면 검사를 중단하거나 SAR 모드를 Normal Operating Mode로 변경하고, 경사자장 기울기나 RF의 강도를 줄일 수 있도록 매개변수(parameter)를 조정(예: RF Pulse Type을 Low SAR로 변경 등)하여 검사 진행
- MRI 검사 중 말초신경자극(손, 발 저림 증상)이 증가할 수 있으니 환자가 불편항을 호소하면 검사를 중단하고 매개변수(parameter)를 조정하여 자극을 최소화
- 강자장에 의해 펌프 삽입 부위(복부)에 약간의 잡아당기는 느낌이 발생할 수 있어 통증이나 불편함을 호소하면 검사를 중단하고 환자상태를 확인 후 검사 진행
- 검사부위가 펌프 삽입 위치 근처인 경우 인공물 발생을 확인하고 진단에 영향이 없는지 영상의학과 판독 의사에게 확인 후 검사 진행
Medtronic Implantable Infusion System MRI Guidelines
만성통증으로 인해 체내에 약물 펌프를 삽입한 환자분들은 MRI 검사예약 시 삽입 시술을 받은 병원에 제조사, 모델명(제품명)을 확인하셔서 알려주셔야 안전하게 MRI 검사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Adler, Jeremy A., and Neona M. Lotz. "Intrathecal pain management: a team-based approach." Journal of pain research 10 (2017): 2565.
'MRI 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MRI 검사 후 화상 안전사고 (0) | 2021.03.15 |
---|---|
심혈관 이식형 전자 장치 삽입 환자의 MRI 검사 절차 (0) | 2021.03.07 |
MRI 촬영 시 금속재료가 없는 마스크 사용 권고 (0) | 2021.03.07 |
[일본] 조깅 바지로 인한 자기공명영상 검사후 화상 사고 (0) | 2021.03.07 |
[인도] 강자장 구역에서 날아간 산소통으로 인한 근무자 상해 사고 (0) | 2021.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