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RI

(11)
MRI용 조영제 주입기 #1(Nemoto Sonic Shot 7) 조영제는 영상 진단 검사 시 영상의 대조도를 높여 조직이나 혈관의 병변을 명확하게 구별해 내는데 도움을 주는 의약품으로 영상 진단 검사법의 종류에 따라 구분되는데 X선 및 CT 조영에는 요오드계 조영제가 MRI에는 가돌리늄계 조영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MRI 검사시 조영제의 투여는 손으로 주입(수동)하거나 조영제 주입기(자동)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MRI 조영제는 X선 및 CT 검사에 사용되는 요오드계 조영제 보다 점도가 낮고, 소량(20ml 이하)으로 주입되는 경우가 많아 손으로 주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근에는 동적 검사(dynamic)의 비중이 높아지고, 손으로 주입하는 것보다 MRI용 조영제 주입기(contrast injector or autoinjector)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정확하고..
환자경험평가 개선활동(MRI 검사실) #2 환자경험평가: 병원에 입원한 환자를 존중하고 개인의 필요와 선호, 가치에 상응하는 진료서비스를 국민 관점에서 제공했는지 등을 확인하기 위한 평가 1차 평가(2017년): 500병상 이상 (상급)종합병원 95개소 2차 평가(2019년): 300병상 이상 154개소 3차 평가(2021년) 예정: 100병상 이상 종합/상급종합병원 357개소 [영상의학과 관련사항] - 투약/검사/처치 관련 이유 설명 및 부작용 설명 - 검사 시 통증 조절 노력 및 위로와 공감 - 검사실 청결 및 환자안전(안전사고 예방) - 검사 및 치료 결정 과정 참여기회 - 검사나 탈의 시 신체노출 등 수치감 관련 배려 MRI 소음 감소 MRI 검사 중에 다양한 유형의 음향 소음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소음문제는 환자와 MRI실 근무자(방사선..
척추 MRI에서 유전 인공물(Dielectric Artifact) 사례 유전 인공물(Dielectric Artifact)이란? 유전 효과(dielectric effect)는 전자기장과 물질의 상호 작용으로 나타나고, MRI에서는 B1 필드 불균일성으로 인하여 비정상적으로 밝고 어두운 영역이 나타나게 되는 현상으로 주로 3.0T 이상에서 자주 나타납니다. 이러한 인공물의 특성이 완전히 명확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유전 인공물(dielectric artifact)이라고 합니다. MRI에서 유전 인공물은 3.0T 복부 검사나 몸통부위 검사에서 영상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특히 RF 파장의 길이를 초과하는 복부 직경을 가진 환자나 체액이 풍부한(예: 임산부 또는 복수 환자) 환자의 경우 영상에서 중앙이 어두워 지거나 음영이 발생하게 됩니다. 1.5T에서는 RF 파장이 ..
[인체삽입형기기] 만성통증 조절용 척수강 펌프(모르핀 펌프) MRI 검사 시 주의해야 할 인체 삽입물 중 만성통증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명 모르핀 펌프, 척수강내 약물 주입장치(Intrathecal Drug Infusion System)의 MR 안전성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최근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암성 통증, 척추수술 후 통증증후군, 중추 및 말초신경 손상에 의한 통증 등 다양한 만성통증 관리를 위해 척수강내 약물 주입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척수강내 약물 주입장치는 복부 피부 아래 삽입되어 척수강 내에 연결된 가는 유도관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필요한 최소량의 약물을 공급하여 치료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다양한 제품이 있겠지만 MR 안전에 대해 조건부 승인을 받은 Medt..
MRI 검사 후 화상 안전사고 MRI 검사실은 강자장 구역이면서 고주파 구역으로 종종 금속에서 유도되는 고전류에 의해 화상을 입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안전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해 MRI실에서는 MR 안전 스크리닝을 진행하여 확인 후 검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하지만 스크리닝 시 환자가 관련 항목을 말해주지 않으면 근무자는 확인하기 어렵고, 우리나라처럼 짧은 시간 안에 많은 환자를 검사해야 하는 환경에서는 정보가 누락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안전사고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사례를 공유하고 원인을 파악해 개선 방법을 검토해야 합니다. 미국에서도 식품의약국(FDA)에서 의료제품 보고 시스템 프로그램(MedWatch) 도입 후 MRI 검사 후 화상사고는 자주 언급되고 권장사항을 제공하지만 화상사고에 대한 화상 정도 및 상황에 대한 자..
소아 진정(수면) MRI 검사 MRI 검사는 CT 검사와 달리 검사시간이 길어 소아는 진정이나 전신 마취 없이는 검사를 견디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많은 소아 환자가 MRI 검사 중에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되거나 장비 소음이나 크기에 겁을 먹게 됩니다. MRI 검사를 받는 일부 성인 환자도 경미한 불안증세에서 공황 발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서적 고통을 경험하게 됩니다. 여러 연구에 따른 면 성인 환자 14~20%는 MRI 검사를 견디기 위해 진정(수면)이 필요합니다. 성인도 검사를 하기 어렵다 보니 6세 이하의 소아의 경우 대부분 수면(진정) 상태로 검사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병원에서는 소아 진정 검사 시 인력 및 장비의 제한으로 실제로 원활하게 검사가 진행되기 어려웠습니다. 2018년 12월 5일에 소아 진정 관리..
환자경험평가 개선활동(MRI 검사실) #1 환자경험평가: 병원에 입원한 환자를 존중하고 개인의 필요와 선호, 가치에 상응하는 진료서비스를 국민 관점에서 제공했는지 등을 확인하기 위한 평가 1차 평가(2017년): 500병상 이상 (상급)종합병원 95개소 2차 평가(2019년): 300병상 이상 154개소 3차 평가(2021년) 예정: 100병상 이상 종합/상급종합병원 357개소 [영상의학과 관련사항] - 투약/검사/처치 관련 이유 설명 및 부작용 설명 - 검사 시 통증 조절 노력 및 위로와 공감 - 검사실 청결 및 환자안전(안전사고 예방) - 검사 및 치료 결정 과정 참여기회 - 검사나 탈의 시 신체노출 등 수치감 관련 배려 MRI용 Patient Comfort System MRI 검사를 받은 환자들은 공포감, 불안감, 통제력 감소 등으로 위협적..
심혈관 이식형 전자 장치 삽입 환자의 MRI 검사 절차 심장박동기(Pacemaker), 이식형 심장 제세동기(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ICD), 심장 재동기화 치료(Cardiac Resynchronization Therapy, CRT), 이식형 루프 레코더(Implantable Loop Recorder, ILR)는 MRI에 금기인 이식형 전장 장치입니다. 최근에는 기술발전으로 MRI 검사가 가능한 MRI 조건부 승인을 받은 제품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1,440만 명의 정도의 환자가 심장 부정맥 질환을 앓고 있으며 매년 약 40,700 명이 사망합니다. 전 세계적으로는 약 백만 명의 환자가 매년 심장박동기, 이식형 심장 제세동기(ICD)를 삽입하고 있습니다. 최근 수년간 국내에서도 심혈관 이식형 전자 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