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제는 영상 진단 검사 시 영상의 대조도를 높여 조직이나 혈관의 병변을 명확하게 구별해 내는데 도움을 주는 의약품으로 영상 진단 검사법의 종류에 따라 구분되는데 X선 및 CT 조영에는 요오드계 조영제가 MRI에는 가돌리늄계 조영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MRI 검사시 조영제의 투여는 손으로 주입(수동)하거나 조영제 주입기(자동)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MRI 조영제는 X선 및 CT 검사에 사용되는 요오드계 조영제 보다 점도가 낮고, 소량(20ml 이하)으로 주입되는 경우가 많아 손으로 주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근에는 동적 검사(dynamic)의 비중이 높아지고, 손으로 주입하는 것보다 MRI용 조영제 주입기(contrast injector or autoinjector)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정확하고 재현성이 높다는 보고가 있어 조영제 주입기를 이용한 투여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MRI용 조영제 주입기는 X선 및 CT 검사에 사용되는 조영제 주입기와 달리 강자장 구역에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강자장에 영향이 없는 비자성체 소재로 제작되어야 하고, 고주파(RF) 차폐가 되어 검사시 신호 잡음(noise)을 발생하지 않아야 합니다.
여러 MRI용 조영제 주입기 중 현재 사용중인 Nemoto사의 Sonic Shot 7 모델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사용 경험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Head Unit은 MRI실 내부(강자장 구역)에 설치되어 조영제와 생리식염수를 장착하여 환자에게 주입하는 메인 장비 입니다. Console Unit은 콘솔에 설치되어 프로토콜 설정, 조영제 주입 설정 확인, 리모트(원격) 투여, 조영제 주입후 압력변화 확인 등이 가능합니다. 이 제품의 주요 특징으로는 초음파 모터 답재, 원터치 주사기 어댑터, 주사기 플런저 자동감지, 체중입력 모드 등이 있습니다.
1) 초음파 모터 답재: MRI 검사에 영향을 주지 않는 비자성체 구조
2) 원터치 주사기 어댑터: 가돌리늄 조영제 주사기를 종류별로 인식하는 전용 아댑터로 원터치로 탈착이 쉬움
3) 주사기 플런저 자동감지: 주사기를 삽입하면 조영제 종류별로 플런저 위치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플런저 후반을 검출하고 멈추게 되어 주사기 세팅을 안전하게 할수 있음
4) 체중 입력 모드: 체중을 입력하면 주입량을 자동계산되어 설정되고, 검사 부위나 조영제 종류에 따라 프로토콜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어 편리함
사용하면서 장점이라고 느낀 점은
1) 다른 인젝터에 비해 어댑터 교환이 편리하여 다양한 제품의 조영제를 사용하는 MRI실에서는 근무자 만족도가 높아 집니다.
2) MRI 검사에서 조영제는 몸무게에 따라 주입량을 결정하게 되는데, 조영제 종류에 따라 kg당 0.1 mL 나 0.2 mL 를 주입하게 되어 환자마다 조영제 종류마다 매번 주입량을 계산해야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체중입력모드를 사용하여 부위별로 조영제 종류별로 프로토콜을 셋업해 두면 몸무게 입력만 하면 자동으로 주입량이 결정되어 편리합니다.
3) 조영제 주입시 실시간으로 압력을 확인할 수 있어 주입과정 확인 및 조영제 혈관외유출(extravasation)에 빠르게 대응 할 수 있어서 영상품질 개선 및 안전사고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4) 구형 모델인 Sonic Shot GX 에서 단점이 었던 아댑터가 노후로 쉽게 파손되었던 부분은 이번 모델에서는 완벽히 개선되어 2016년 부터 사용한 장비에서도 한번도 아댑터 파손없이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장비 제원]
[MRI 조영제 주입기 기술동향]
MRI는 방사선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한 의료 영상 검사 중 하나로 MRI 조영제 주입기 시장은 CT 조영제 주입기 시장에 비해 성장율이 다소 낮으면 입니다.
CT 조영제 주입기는 다양한 기능이 도입되어 환자안전 및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었지만, MRI 조영제 주입기는 단순한 일반기능만 가지고 있고, 아직도 압력 모니터링, 조영제와 생리식염수 동시 주입(믹싱 기능), 혈관외유출 검출기 등의 기능이 없는 제품이 많습니다.
최근 CT 조영제 주입기와 마찬가지로 신형 조영제 주입기 개발시 MRI 장비와 인터페이스를 연결하여 MRI 장비에서 직접 조영제 주입기를 조작하여 편의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병원 IT 시스템과 인터페이스를 연결하여 환자 데이터를 직접 가지고와서 조영제 주입량, 조영제 종류, 프로토콜 선택 등의 오류를 최소화 하도록하고 주입된 조영제 주입현황 정보를 EMR이나 PACS에 자동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지원하는 기능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이 국내에도 빠르게 적용되어 환자안전 및 사용자 편의성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다음에는 다른 회사 조영제 주입기 제품들도 하나씩 리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문헌
Indrajit, Inna K., et al. "Pressure injectors for radiologists: A review and what is new." The Indian journal of radiology & imaging 25.1 (2015): 2.
Endrikat, Jan, et al. "Accuracy and Repeatability of Automated Injector Versus Manual Administration of an MRI Contrast Agent—Results of a Laboratory Study." Investigative radiology 53.1 (2018): 1.